발행일 : 2025-09-24 13:36
수업 목표: 배울 내용 살펴보기
이번 수업은 학생들이 '토의'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는 경험을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활동 1: 토의 경험 떠올려보기
수업의 시작은 아이들에게 친숙한 일상생활 속 토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자연스럽게 개념을 익히는 시간입니다.
토의의 의미: 여러 사람이 모여 어떤 문제나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고, 함께 더 좋은 해결책이나 결론을 찾는 과정입니다.
활동 방법: '가족 연휴 계획'처럼 모두가 참여하는 일상적인 이야기부터, '남기는 음식 없이 모두가 만족하는 급식 시간', '가족과 스마트폰 사용 규칙 정하기'와 같은 구체적인 주제까지 다양하게 다루며 아이들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활동 2: '나는 찬성, 나는 반대!' 미니 토의
교실을 활용한 간단한 활동으로, 토의의 재미를 직접 경험하는 시간입니다.
활동 방법:
1)교실의 양쪽 끝에 '찬성'과 '반대' 구역을 만듭니다.
2) "아침에 밥을 먹는 것이 빵보다 더 좋다" 또는 "학교 급식에 라면이 나왔으면 좋겠다"와 같은 간단한 주제를 제시합니다.
3)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에 따라 '찬성' 또는 '반대' 구역으로 이동합니다.
4) 각자 왜 그 의견을 선택했는지 한두 문장으로 간단하게 말해봅니다.
예시 주제: "우리 반에 매일 간식을 가져와도 된다."
- 찬성: "배고플 때 먹을 수 있고, 친구들과 나눠 먹는 즐거움이 있다."
- 반대: "교실이 지저분해지고, 간식 때문에 밥을 안 먹을 수도 있다."
활동 3: '토의에 필요한 능력' 마인드맵 만들기
이 활동은 학생들이 토의에 필요한 능력을 스스로 고민하고 정리하는 시간입니다.
활동 방법:
1) 패들렛 샌드박스(Padlet Sandbox)에 접속하여 '토의에 필요한 능력'을 자유롭게 떠올려 봅니다.
2) 학생들에게 토의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능력(예: 잘 듣기, 발표하기, 상대방 존중하기, 메모하기 등)을 자유롭게 적어보도록 합니다.
3) 학생들이 말하는 내용을 이유와 함께 발표하도록 합니다.
4) 정리된 자료를 보며, 토의의 의미를 다시 한번 이해합니다.
댓글(0)
이모티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