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투자자로 성장주 가치투자라는 모토를 가지고 있습니다.
성장주 가치투자란 성장하는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하여 장기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수시로 시세를 확인하며 밤에 잠을 설치는 투자가 아니라
개인 수준에서 철저한 기업분석을 통해 매수를 하고 마음 편히 장기 보유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워렌버핏과 찰리멍거, 피터린치의 투자법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지킴이
파이팅쌤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센트러스에너지(LEU) 4개의 강력한 혜자와
25년 2분기 실적 분석
입니다.
이 글을 통해 센트러스 에너지의
현재 가치와 미래 성장성을 명확히
파악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은
2025년 8월 9일에 제 개인 블로그에 업로드된 글입니다.
https://blog.naver.com/fightingssam/223964205486
_종목 추천이 아니며
투자 기업을 찾기위해 꾸준히 공부하고 분석해야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기 위해
글을 작성했습니다.
목차
센트러스 에너지의 드라마틱한 역사: 파산과 부활
강력한 해자(Moat): 센트러스의 독점적 위치 분석
기회와 리스크: 경쟁자, 그리고 정부 의존도
실적 분석: 숫자로 증명된 부활과 성장
1. 센트러스 에너지의 드라마틱한 역사
파산과 부활
센트러스 에너지의 역사는 미국의 원자력 정책과
냉전, 그리고 기술 실패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1단계
국영 기업에서 민간 기업으로 (1990년대)
1992년, 미국 정부는 우라늄 농축 시설 운영을 위해 국영 기업인
미국 농축 공사(USEC)를 설립했습니다.
이후 1998년,
USEC는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며 완전히 민간 기업으로 전환됩니다.
2단계
기술 전환 실패와 재정난
(2000년대 ~ 2014년)
USEC는 낡은 기술을 대체하기 위해 차세대 기술인 미국 원심분리기 프로젝트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었지만,
기술적 난관과 비용 문제에 부딪혔고, 결국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합니다.
3단계
파산, 그리고 '센트러스'로의 재탄생
(2014년)
결국 2014년 3월,
USEC는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챕터 11 파산 보호를 신청합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구조조정을 거쳐 그해 9월,
회사는 '센트러스 에너지(Centrus Energy)'라는 새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4단계
HALEU를 통한 완벽한 부활
(2019년 ~ 현재)
재탄생한 센트러스는 차세대 원전(SMR)의
필수 연료인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ALEU)'에서 기회를 발견합니다.
마침내 2023년 10월,
센트러스는 미국 내에서 유일하게 HALEU 생산을 시작하며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
2. 강력한 해자(Moat)
센트러스의 독점적 위치 분석
센트러스의 독점적 지위는
단순히 '미국 유일의 HALEU 생산업체'라는
한 문장으로 설명될 수 없습니다.
그 이면에는 다른 어떤 기업도 단기간에
흉내 낼 수 없는
네 개의 강력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난공불락의 요새가 존재합니다.
1) 규제의 해자
난공불락의 NRC 라이선스
가장 강력하고 본질적인 해자는 바로 규제입니다.
센트러스는 오하이오주 파이크톤에 위치한 자사의 농축 시설에서
HALEU를 상업적으로 생산하고
판매하는 데 필요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라이선스를 보유한
미국 내 유일한 기업입니다.
이 라이선스는 단순한 허가증이 아닙니다.
핵물질 생산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NRC는 수년에 걸쳐 기술적 안전성,
물리적 방호 능력, 재무 안정성 등 극도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심사합니다.
새로운 기업이 이 라이선스를 취득하려면
천문학적인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이는 다른 기업의 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가장 높은 장벽으로 작용합니다.
2) 계약의 해자
수억 달러 규모의 정부 보증 수요
센트러스는 사업 초기 단계의 가장 큰 리스크인
'수요 불확실성'을 정부 계약을 통해 완벽하게
제거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자국의 안정적인 HALEU 공급망 구축을 위해
'HALEU 가용성 프로그램(HALEU Availability Program)'을 시작했으며,
센트러스는 이 프로그램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2단계로 구성됩니다.
1단계 (시연 계약)
DOE는 센트러스가 HALEU 농축 시설을 건설하고, 최초 생산을 성공적으로 시연하는 데
필요한
약 1억 5천만 달러(약 2,000억 원) 규모의 비용을 지원했습니다.
2단계 (생산 계약)
2023년 11월, DOE는 센트러스와 본격적인 생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센트러스가 연간 900kg의 HALEU를 생산하고,
DOE가 이를 구매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장기적으로 그 규모는 더욱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는 "만들기만 하면 정부가 전량 구매하겠다"는
약속과 같으며,
센트러스는 미국 정부라는 확실한 첫 고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초기 매출과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지정학적 해자
'탈(脫)러시아'라는 시대적 흐름
과거 HALEU의 상업적 공급원은
사실상 러시아의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Rosatom)의 자회사인
TENEX가 독점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은 에너지 안보를 위해 러시아산 핵연료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최우선 국가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러시아산 우라늄 수입 금지 법안'은
이러한 흐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러한 지정학적 배경은
센트러스의 독점적 지위를 더욱 강화합니다.
센트러스는 단순한 상업적 기업을 넘어,
러시아를 배제하고 자국의 에너지 안보와 차세대
원전 산업 패권을 지키기 위한
대체 불가능한 국가 전략 자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입니다.
4) 기술적/자본적 해자
수십억 달러의 진입 장벽
HALEU를 생산하는 원심분리기 농축 기술은
반도체 공정 이상으로 정교하며,
수십 년의 운영 노하우가 필요한 기술의
집약체입니다.
신규 기업이 상업용 우라늄 농축 시설을
건설하는 데에는 부지 확보, 인허가, 건설 및 시운전까지
최소 20억~50억 달러
(약 2조 7천억 원 ~ 6조 7천억 원) 이상의
막대한 초기 자본이 필요합니다.
센트러스는 과거 미국 농축 공사(USEC) 시절부터
쌓아온 기술력과 기존 시설을 활용할 수 있어,
후발주자 대비 압도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이처럼 높은 기술적, 자본적 진입장벽은
잠재적 경쟁자들이 쉽게 시장에 진입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게 만듭니다.
결론적으로 센트러스 에너지의 독점적 위치는
NRC의 규제적 해자
미국 정부와의 수억 달러 규모 계약
러시아를 배제하려는 지정학적 흐름
그리고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술적/자본적 진입장벽
복합적으로 얽혀 형성된 강력한 구조입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다른 어떤 기업도 복제하거나
따라잡기 매우 어려운, 깊고 넓은
경제적 해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기회와 리스크
경쟁자, 그리고 정부 의존도
이러한 독점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리스크는 없는지 냉철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미래의 경쟁자
단기적으로는 경쟁자가 나오기 매우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HALEU 시장이 커지면
URENCO, GLE 같은 잠재적 경쟁자가 등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센트러스는 '선점 효과'를 통해 격차를
벌릴 시간을 확보했습니다.
정부 의존도 리스크
현재 센트러스에게 정부는 '리스크'가 아닌 '가장 강력한 전략적 파트너'입니다.
정부와의 초기 계약은 민간 SMR 시장이 열릴 때까지
생존과 성장을 돕는 '마중물' 역할을 하며,
향후 민간 기업으로 고객이 다변화되면서 리스크는 완화될 것입니다.
4. 실적 분석
숫자로 증명된 부활과 성장
센트러스의 드라마틱한 부활 스토리는
이제 실제 재무제표의 숫자로
명확히 증명되고 있습니다.
_단위 1억 달러
핵심 성장 지표 |
2025년 2분기 (3개월) |
2024년 2분기 (3개월) |
YoY 성장률 |
1. 매출액 (Total Revenue) |
$1.55억 |
$1.89억 |
-18.25% |
2. 매출총이익 (Gross Profit) |
$0.54억 |
$0.37억 |
47.67% |
3. 매출총이익률 (Gross Profit Margin) |
34.89% |
19.31% |
+15.58%p |
4.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
$0.34억 |
$0.21억 |
58.77% |
5. 영업이익률 (Operating Margin) |
21.68% |
11.16% |
+10.52%p |
6. 순이익 (Net Income) |
$0.29억 |
$0.31억 |
-5.56% |
7.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
18.71% |
16.19% |
+2.52%p |
8. EPS (희석 주당순이익, Diluted) |
$1.59 |
$1.89 |
-15.87% |
9. 영업활동현금흐름 (Op. Cash Flow)* |
$0.89억 |
$0.12억 |
626.02% |
10. Free Cash Flow (FCF)* |
$0.84억 |
$0.10억 |
744.44% |
|
참고사항 (현금흐름)
제공된 보고서의 현금흐름표는 분기별이 아닌
6개월 누적치(Six Months Ended June 30)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위 현금흐름 관련 지표는
2025년과 2024년의 상반기 전체 실적을 비교한 것입니다.
Centrus Energy는 2025년 2분기
매출의 외형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대폭 개선하며 질적 성장을 증명했습니다.
이는 고마진 제품의 판매 비중 증가와
효율적인 비용 통제 덕분입니다.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한 현금흐름은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에 투자할
실탄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입니다.
다만, 러시아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는 여전히 핵심 리스크로 남아있습니다.
센트러스에너지(LEU) 4개의 강력한 혜자와 25년 2분기 실적 분석
수익성 분석
마진율의 극적인 개선
이번 분기 실적의 핵심은 이익률의 괄목할 만한 성장입니다.
가격 상승 및 비용 하락
매출총이익률이 19.31%에서 34.89%로
급증한 주된 이유는
SWU(농축작업단위) 평균 판매 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한
반면,
평균 판매 원가는 8%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한 시장 가격 상승의
수혜를 입는 동시에,
원가 구조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영업 레버리지 효과
매출 감소에도 영업이익이 58.77%나 증가하며
영업이익률이 21.68%에 달한 것은 강력한 영업 레버리지 효과를 증명합니다.
고정비 부담이 큰 사업 구조에서
수익성 높은 계약이 집중되며 이익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매출 분석
계약 기반의 분기 변동성
매출액이 18.25% 감소한 것은
회사의 근본적인 문제라기보다 사업 특성에 기인한 바가 큽니다.
물량 감소
전년 동기에는 $0.30억에 달했던 우라늄 매출이
이번 분기에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주력인 SWU 판매량도 27% 감소했습니다.
계약의 시점 문제
원자력 연료 공급 계약은 고객사의 원자로
재장전 주기에 따라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분기별 실적은 특정 시점의 납품 일정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기 매출 감소를 회사의 경쟁력 약화로
해석하기는 이릅니다.
현금흐름 및 재무 건전성
유동성 급증 및 부채 감소
회사의 재무 상태는 눈에 띄게 견고해졌습니다.
강력한 현금 창출
상반기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이 626% 급증한 $0.89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익 증가와 더불어 운전 자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부채 상환
2025년 3월, 기존의 8.25% 채권($0.74억)을
전액 상환하며 이자 부담을 줄이고 재무 구조를 개선했습니다.
풍부한 유동성
2025년 6월 말 기준,
$8.33억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부채비율(266.1%)이 다소 높음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리스크는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 자금은 향후 HALEU 시설 확장 등 성장을 위한
투자 재원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미래 성장 동력 및 리스크
성장 동력 (HALEU & 정부 계약)
'Technical Solutions' 부문이 확실한 성장 엔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DOE)와의
HALEU 생산 계약이 2026년 6월까지 연장 및 증액되면서
안정적인 미래 수익원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차세대 원자로 연료 시장을 선점하고
미국 내 유일한 HALEU 생산자로서의 독점적 지위를
강화하는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리스크 (러시아 공급망)
가장 큰 리스크는
러시아 TENEX사와의 공급 계약입니다.
미국 정부의 '러시아산 우라늄 수입 금지법(Import Ban Act)'과
러시아 정부의 '수출 허가제(Russian Decree)'로
인해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습니다.
향후 미국 정부의 수입 허가(waiver) 획득 여부와
러시아의 수출 허가 발급 여부가
회사의 LEU 사업 부문 실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_25년 8월 20일 자로 수출허가가 연장되었습니다.
7~8월 당시
신규 투자 종목을 탐색하며 원전주가 시야에 들어왔습니다.
원전 관련해서는
오클로(OKLO)/뉴스케일파워(SMR) 등
SMR 관련주를 많이 아실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직 적자상태인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다는 원칙과
너무 많은 사람들이 투자하고 있는 이유로
다른 원전주를 탐색하다가
센트러스 에너지(LEU)를 발견했습니다.
_독점적 위치/흑자 기업/정책주/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 상태/대중의 관심없는 종목
운 좋게 기업을 공부하는 도중
전환사채 발행 이슈로 큰 폭의 하락이 있어
그때부터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저의 강의를 들으신 분은 아시겠지만
저는 장기적인 시각으로 투자를 하기에 최근의 급등세는 조금 아쉽습니다.
_아직 목표한 수량만큼 못 샀기 때문입니다.
개별 기업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대중과는 다르게 갈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대중이 선택하는 기업에서
대중과 다른 수익율을 얻기란 불가능합니다.
_지난 한달간 한국 투자자의 미국주식 매입 현황/출처: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
"인기 있는 선택을 해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You can't produce a superior performance unless
you do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majority.
-워렌 버핏
꾸준히 공부하고 자신의 판단에 따라 기업을 매수한다면
장기적으로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에게는 '시간'과 '투자할 자유'라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언어의 장벽과 오랜 시간이 필요했던 기업 분석과 공부가
생성형 AI를 통해 훨씬 수월하게 공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많이 공부하시고 좋은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장기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마음 편한
성장주 가치투자를 위한 미국주식 강의
성장주 가치투자를 위한 최소한의 필수 재무제표 지식
_투자할 기업을 찾는 기준/Gemini를 통해 영문으로 된 실적보고서 10분만에 핵심 파악
https://ssam.teacherville.co.kr/ssam/contents/25901.edu
아파트 구입을 고민하고 있는 선생님들께 드리는 실전 노하우
_개인 상황별 주택 구입 포지션/아파트 구입 단계별 실전 노하우/협상 노하우
25년 10월 15일(수) 21:30 ~
https://ssam.teacherville.co.kr/ssam/meet/9516.edu
아래의
권위있는 교사의 교사는 편안하고 학생은 안정감을 느끼는
학급경영 강의에
2시간을 투자하시고 수십 년의 교직생활을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https://ssam.teacherville.co.kr/ssam/contents/25691.edu